-
목차
올해도 재산세를 납부해야하는 시기가 돌아왔습니다.
재산세를 갑자기 납부하려다 보면 금액이 부담스럽고,
자연스럽게 카드 납부, 할부 등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신용카드로 납부할 수 있는지, 할부, 무이자가 되는지, 수수료는 얼마나 나오는지
같은 정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재산세 카드납부? 수수료는 꼭 확인
재산세는 대표적으로 위택스(wetax) 또는 이택스(etax) 사이트에서 납부할 수 있어요.
이 사이트는 지방세 전용 납부 플랫폼으로,계좌이체, 간편결제, 신용카드 모두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카드 납부 시 수수료가 붙을 수 있습니다.
납부 전에 정확히 얼마나 붙는지 꼭 한 번 확인해 보시는 게 좋습니다.- 💳 카드 수수료는 카드사마다 다르지만 보통 0.8~1.0% 정도예요.
- 💡 예를 들어, 재산세가 80만 원이라면 수수료가 약 8천 원까지 발생할 수도 있어요.
- 수수료는 결제 직전에 보여지기 때문에 꼭 납부 전에 다시 보세요!
재산세 납부 시 카드사 혜택은 개인별로 다르게 적용될 수 있으니 조건을 꼭 확인해보시기를 권해드립니다.
무이자 할부 외에도 환급, 캐시백 혜택이 있는 카드도 있으니 비교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스마트위택스 앱 활용법
스마트위택스 앱을 깔면 휴대폰으로 바로 재산세 카드납부가 가능해요.
- 📱 앱스토어에서 ‘스마트 위택스’ 검색 → 설치
- 🔐 로그인 후 납부 메뉴에서 세금 종류 선택
- 💳 카드 정보 입력 후 납부 완료
이 방식도 위택스처럼 00:30 ~ 23:30까지 이용 가능하며,
카드 납부는 물론 카카오페이 같은 간편결제도 가능해서 편리해요.앱을 통한 납부도 동일한 카드 혜택이 적용되며, 조건은 사전에 확인해보시길 권해드립니다.
2025 카드사별 유리한 조건 정리
올해 2025년 7월,
각 카드사들은 재산세 납부자들을 위해 다양한 무이자 할부 및 캐시백 이벤트를 진행 중입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건 해당 카드사에 이벤트 등록(마이태그 등)이 필요할 수 있다는 점이에요.카드사 무이자 할부 조건 캐시백/환급 유의사항 BC카드 - 최대 5만 원 머니박스
결제일 할인 2천 원페이북 태그 등록 필수 롯데카드 기본 1% 캐시백 + 즉시결제 1% 추가 최대 2% (월 200만 원 한도) 로카 프로페셔널 카드 필요 신한카드 - 체크카드 납부 시 0.1% 캐시백
(8/7 지급)신용/법인/BC카드 제외 KB국민카드 - 10만 원 이상 납부 시 7천 원 환급할인 직장인 보너스 체크카드
전월 실적 30만 원 이상 시 적용현대카드 6·10·12개월 부분 무이자 - 5만 원 이상 결제 /
~7월 31일까지우리카드 2-3개월 완전 무이자
10·12개월 부분 무이자- 10·12개월 부분 무이자
(1~3회차 유이자, 이후 무이자)NH농협카드 2-4개월 완전 무이자
5-10개월 부분 무이자- 5만 원 이상 결제 시 적용 무이자 할부 조건은 대부분 5만 원 이상 결제 시 가능하며, 일부 카드는 전월 실적 조건도 있습니다.
또한, 재산세 납부금액이 카드 실적에 포함되는지 여부도 카드마다 다르므로 사전 확인이 꼭 필요합니다.
납부 방법에 따라 달라지는 카드 수수료와 혜택 비교
재산세는 위택스, 인터넷지로, 스마트위택스 앱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납부할 수 있지만
카드 수수료와 혜택 적용 방식은 플랫폼별로 조금씩 차이가 있습니다.- 위택스: 수수료 명확하게 표시됨, 이벤트 참여 시 혜택 적용
- 인터넷지로: 납부 가능하지만 카드 혜택 적용 여부는 확인 필요
- 은행 앱/사이트: 일부 공과금 전용 메뉴에서 카드 납부 가능
재산세 카드납부는 납부 방식에 따라 혜택이 달라질 수 있으니 반드시 비교해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납부 기한을 넘기면 가산세부터 연체이자까지 부담이 생깁니다.
게다가 무이자 혜택, 환급 이벤트는 기간 한정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조금이라도 혜택을 챙기고 싶다면 이번 달 안에 꼭 확인하셔야 해요.카드사 이벤트와 조합해 절세 효과까지 노려보시기를 바랍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으뜸효율 가전제품 환급, 렌탈 제품 지원 정리 (0) 2025.07.14 2025 으뜸효율 가전제품 환급 신청서류 총정리 (0) 2025.07.14 자동차세 미납, 납부유예 조건과 신청방법 (0) 2025.07.11 자동차세 미납 조회, 대처법, 과태료 피하는 법 (0) 2025.07.11 2025 재산세 고지서 안 왔다면? 조회, 발급, 분실 시 대처 (0) 2025.07.10